나는 문화생활을 하기 전에 미리 하는 것이 있다.

음.. 몰입을 위한 대충 감이라도 잡고자 어느정도 사전에 정보를 찾는건데, 아래 두가지 방법을 통해 정보를 접한다.

 

☝️하나. 공식적인 홍보물을 통한 방법

- 전시와 공연의 경우는 소개글이고, 영화나 뮤지컬 또는 콘서트의 경우는 관련 동영상 줄거리 살펴본다.

 

✌️둘. 웹사이트에 나와있는 평점과 함께 막한 리뷰들을 살펴보는 방법

- 공연예매사이트나 시네마 홈페이지, 서점 홈페이지에 들어가 평점과 리뷰를 살펴본다.

 

시간 여유 있다면  둘을   편이지만,  두가지 행동이  종결정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영화뿐 아니라 모 창작물들은 

개개인이 직접 경험(영화&전시&공연 - 관람 / 책&잡지등의 글 - 구독 or 독서 / 음악 - 청취)하기 전까지는 

감히 함부로 평을  없다는 대전제 항상 기저에 두고 있기 문이다!!🤨

 

내가 두번째 행위(평점  막한 리뷰 파) 는데는 름대로의 연이 있다🙄

친구 따라서  기대없이 보러 갔던 영화가 그마저도 못미치는 스토리 성을 보여주 망을 안겨다 줬기 문ㅎㅎ

아무튼, 이 상황에서 평점과 리뷰 보고 어느정도의 참고는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서론이 길었는데, 이  용이 내가 작품을 선택하는 동기이고, 하나의 문화생활 내에서도 다양한 장르를 골고루 접하려고 노력하 편이다(물론 만의 장르 선순위는 존재한다!).

 

문화생활이 무엇이 됐든 끝나는대로 짤막하게나마 리뷰를 남겨두려 노력한다. 가장 흔하게 할 수 있는 영화와 독서가 주류겠지만ㅎㅎ

작품마다의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에 블로그에 옮겨적는다.

 

이상! 블로그에 올리는 문화생활 리뷰를 기록하기 앞서 나의 생각을 적어둔다📋

pset1 - 'Hello'

기본 함수 선언을 통해 출력하기

 

C언어를 막 시작하는 단계에서 과제에 나와있는 설명문들을 천천히 읽고 이해해나가기에 좋다.

먼저 왼쪽에 listing files라는 제목으로 된 창이 나오는데,

이 창의 내용에는 앞으로도 쭉 강의를 들을 때나 과제작성 시에 써야할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Listing Files에 관한 설명

> CS50 Lab   -   클라우드 기반의 Text Editor

> Terminal Window   -   오른쪽 창에서 중간 아래 부분에 $표시가 나타나 있는 공간

> command-line interface (CLI)   -   키보드 입력값으로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폴더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 'execute a command'   -   커맨드 창에서 입력한 후 enter 키를 치는 과정(to type into a terminal window and then hit enter)

> ls   -   현재 폴더공간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나열(list)해준다.

 

 

Compiling Programs에 관한 설명

> clang   -   compiler를 통해 compile하는 명령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우리가 .c 라는 C언어 코드 형식으로 저장한 source code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machine code로 번역해주는 과정이다.

   우리가 .c 라는 형식으로 저장한 source code 자체에 대해서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없다.

> ./   -   실행하려는 파일이름의 앞에 ./을 입력하면 실행하라는 명령이 된다.

 

 

Naming Programs에 관한 설명

> -o   -   command-line arguement (flag나 switch라고도 불림). 프로그램의 이름(output)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을 저장할 수 있다.

 

 

코드 실행방법에 관한 설명

 

command line 부분별 의미와 풀이

'Computer 💻 >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0 (feat. edX 플랫폼)  (0) 2020.03.18

내가 C언어를 진득하게 공부해보기 위해 선택한 선택지는 바로!

하버드대학의 최고 인기 교양강좌인 CS50이다.

(이 강의는 매년 새로이 강좌가 업데이트되는데, 2020년 초에 시작한 나로써는 CS50x 2020을 수강하고 있다.)

 

📌   edX 플랫폼에는 다양한 종류의 cs50 강의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을것이다.

이 중에 내가 듣는 강의는  CS50's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이다.

(edX lecture : 아래 참조)

 

https://courses.edx.org/courses/course-v1:HarvardX+CS50+X/course/#block-v1:HarvardX+CS50+X+type@chapter+block@b94adcd6bd6b4e69b2af7eef0d828674

 

Course | CS50 | edX

 

courses.edx.org

어느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느냐에 따라 커리큘럼의 내용이 조금씩 다른데,

이 강좌의 경우 C언어와 후반부에 Python 그리고 SQL을 배울 수 있다!

 

아, 물론 현 시점에서 동영상 플랫폼의 절대강자라 할 수 있는 Youtube에도 이와 관련한 동영상 재생목록이 올라가 있다

(유튜브에서는 2019버전이 가장 최신으로 업로드되어 있는듯하다..)

CS50 Lectures 2019라는 이름으로 된 재생목록이 있다.(내용은 같은듯 하다)

 

(Youtube 링크 : 아래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cF6YkH-8vFk&list=PLhQjrBD2T381L3iZyDTxRwOBuUt6m1FnW

다만 내가 edX플랫폼을 통해 듣는 가장 큰 이유는 이 플랫폼에서 certificate을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공짜는 아니며,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lecture에 알맞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ㅠㅠ)

또한, Discussion Board와 Problem Set을 활용하면 이 강의 수강생들이 훨씬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Problem Set는 Lecture당 필수과제 1개와 2개 중 택1해야하는 과제 1개(난이도가 높은것 하나와 낮은 것 하나)로 구성되어있고,

이를 제출해야만 certificate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상 CS50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마치겠다.

'Computer 💻 > C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0] Problem Set 1 - 'Hello'  (0) 2020.03.18

+ Recent posts